Yield는 대학이 입학 허가를 한 학생들 중 실제 등록하는 학생의 비율을 뜻하는 말로 Yield는 대학의 인기도와 학생들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데 쓰입니다. 학교의 Yield(%)가 높은 곳은 학생들이 최종 선택을 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인기가 높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.
Yield: 내다 산출/생산하다?
대학의 Yield
Yield는 대학의 입학 허가를 받은 학생들이 실제로 등록할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높은 Yield는 대학의 인기도와 학생들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높은 Yield를 가진 대학은 더 많은 학생들이 입학을 원하기 때문에 더 높은 명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높은 Yield는 대학의 재정적 수입을 증가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. 대학은 입학 허가를 받은 학생들이 등록하지 않으면 등록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.
한편 높은 Yield는 대학 랭킹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대학 랭킹은 대학의 학문적 성취, 재정적 안정성, 학생들의 만족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매겨집니다. 이 중에서도 Yield는 대학의 인기도와 학생들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.
Yield가 높은 대학들의 특징
- 높은 명성: 학문적 우수성, 졸업생들의 성공, 사회적 영향력 등으로 인정받는 대학들입니다.
- 뛰어난 교육 환경: 우수한 교수진, 최첨단 시설,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합니다.
- 풍부한 재정 지원: 학생들에게 장학금, 학자금 지원 등 다양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합니다.
- 활발한 커뮤니티: 학생들에게 다양한 활동 기회, 동아리, 네트워킹 기회 등을 제공합니다.
2023학년도 기준 미국 대학 Yield Top 10
(출처: 각 대학 Common Data Set)
스탠퍼드 대학교: 81.9%
하버드 대학교: 81.7%
시카고 대학교: 77.0%
MIT: 76.3%
예일 대학교: 74.7%
컬럼비아 대학교: 69.9%
프린스턴 대학교: 69.4%
브라운 대학교: 68.1%
펜실베니아 대학교: 66.5%
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(Caltech): 65.2%
Yield를 높이기 위한 전략
Yield는 등록한 학생수를 입학이 허가된 학생수를 나눈 숫자로 100명의 학생에게 합격 통지를 보냈을 때 80명이 최종등록 했다면 80%로 표시합니다. 대학들은 Yield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합니다.
가장 일반적인 전략은 재정 지원입니다.
대학은 학생들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하여 등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대학은 개인적인 관심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. 대학은 학생들에게 개인적인 관심을 보여줌으로써 학생들이 학교에 더욱 애착을 느끼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캠퍼스 투어
캠퍼스 투어도 Yield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 학생들은 캠퍼스 투어를 통해 학교의 분위기를 느끼고 학교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습니다.
Early Decision
Early Decision은 학생들이 학교에 조기 합격을 받고 조기 등록을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 Early Decision을 통해 학생들은 다른 학교에 지원할 기회를 잃게 되지만, 학교는 학생들의 등록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.
결론
Yield는 미국 대학 입시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. 대학들은 Yield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학생들은 Yield를 고려하여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높은 Yield를 가진 대학은 더 많은 학생들이 입학을 원하기 때문에 더 높은 명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높은 Yield는 대학의 재정적 수입을 증가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. 마지막으로, 높은 Yield는 대학 랭킹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학생들은 Yield를 고려하여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공부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어 회화 준비 전화영어 구분 화상영어 순위 경기 안 좋을 때 자기계발 (2) | 2024.12.03 |
---|---|
독학재수학원 vs 기숙학원 중 내게 맞는 학원은? (0) | 2024.11.22 |
경기도 평준화 지역 후기 일반고등학교 원서 입력・작성・제출 요령 (3) | 2024.11.20 |
강남 종로엠 기숙학원 청솔학원 원장, 강사들이 만든 학원 (2) | 2024.11.18 |
양명학, 마음속에서 이치를 찾다 이(理)는 어디 있는가? (0) | 2024.11.14 |